오늘도 뻐근한 목 이유가 뭐일까 사진 2장으로 원인을 알수있다면?

25년 10월 12일

전국민이 만성적으로 달고사는 목,허리 통증은 질환중 1,2위라고 하죠??

마사지기로도 풀어보고 교정도 해보고 시원함은 그때뿐!! 또 몇일 지나면 다시 돌아오는 통증에 이제 지긋하고 두렵죠

왜 자꾸 돌아오는지 이 글 끝까지 읽어보시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

전 논문쟁이 코난이라 근거기반으로 이야기 하기때문이죠

자 그럼 시작합니다

우리의 척추는 태어날때부터 완성된것이 아니다.

신생아의 척추는 한줄로 휘어진 C자 형태로 시작하죠 그러다 아기가 고개를 들고 돌리면서 목뼈의 전만이 생기고 > 몸을 뒤집으면서 흉추의 조절이 생기고 > 기어다니면서 요추의 전만이 생깁니다. 점차 성인의 S자 곡선을 만들어 가는거죠.

이건 단순한 성장 과정이 아니라 중력에 맞서 몸을 세우는 ‘균형의 학습입니다’.

우리가 지금 이렇게 서 있을 수 있는건 태아기와 영아기의 수많은 움직임을 통해 척추와 근육이 조화를 배웠기 떄문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유아기 때 독립적으로 걷는 시기와 겉은 주요 운동 발단 단계가 평생의 척추 형태에까지 영향을 줄수 있다하고, 실제로 영아기의 척추 곡선 형성은 성인이 되었을 때의 척추 정렬과 기능의 토대가 되죠.

생활 습관과 척추 정렬의 변화

성인이 되면서 오랜시간 앉고, 반복적인 한쪽 작업등의 생활습관으로 인해 어린 시절 균형잡힌 척추 정렬을 점차 잃게되죠. 상당수의 사람들이 하루 7~10시간을 앉아서 지내는데, 이렇게 오래 앉는 자세는 지속적으로 부담을 줄수밖에 없죠.

실제 연구에서 성인의 43%, 학생의83%가 하루 10시간 이상 앉아있으며 균형을 이루는 아름다운 척추의 S자 커브를 망가트리죠, 학생은 중심을 잃고 틀어지면서 척추 측만증과 같은 이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성인은 측만이 발생할 경우는 적고 과도한 척추의 후만/전만등이 있죠.

일상 속 비대칭과 보상작용의 악순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상에서 크고 작은 비대칭을가지고 있습니다.오른손/왼손잡이에 따른 한쪽 근육 과사용, 한쪽 다리를 꼬는 습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자세와 운동등이 누적되어 몸의 좌우균형이 틀어질 수 있습니다. 비대칭은 결국 통증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습관적인 비대칭 자세가 만성적인 척추 변형을 유발하며, 만성요통의 80~90%는 이러한 일상적인 자세 불균형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여기서 가장 큰 문제가 있습니다

통증이 생기면 원인보다는 아픈 부위만 붙잡고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허리가 아픈 환자는 “많이 걸어야 된다”는 이야기만 듣고 무작성 걸으려고 하거나, 목디스크 환자는 목 부위만 스트레칭 하는데 집중하지만 이런 방법으로는 근본 원인인 몸의 불균형을 해결하지 못합니다. 모 교수님의 이야기를 듣고 허리는 폄운동이 무조건 좋다 등은 펴야 좋다 이러시는데.. 그러지 마세요 ㅠ 덕분에 환자들 일자등되서 오는데….. 많은 케이스들이 해당사항일뿐 아닌케이스도 많습니다 교수님

관절 비대칭으로 인한 보상 움직임

몸은 한쪽 관절의 움직임이 부족하거나 근력이 약하다면 다른부위가 그 부족함을 보상(Compensation)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러한 보상 움직임 자체는 단기적으로는 기능을 유지키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부상위험 증가와 통증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흉추의 회전이나 신전 가동성이 부족하면 그 상부인 경추나 요추가 과도하게 움직여 이를 보상하려 합니다.

실제 임상에서는 흉추가 뻣뻣하면 허리가 대신 움직여서 허리에 전해지는 전단력과 압박력이 증가하고, 이것때문에 허리 디스크에 무리가 갑니다.

마찬가지로 고관절을 굽히는 움직임이 제한된사람은 몸을 앞으로 숙일 때 허리를(요추)를 과도하게 굴곡시켜 보상하게 되며, 이러한 보상 동작이 반복되면 허리통증이나 손상을 유발합니다.

즉 한 관절의 비대칭적 기능저하가 있으면 다른 부위가 지나치게 움직이거나 부담을 떠안아 문제가 전이되는 것이죠. 이러한 보상작용은 처음에 눈의 띄지 않을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특정부위에 부담을 주어 악순환을 만들게 됩니다.

그러면 뭐 어떻게 하라는거냐? 재활가이드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태아의 움직임으로 돌아가자라는게 제 접근법입니다. 실제 급성기 환자에서도 이렇게 치료가이드를 세우기도 하고있구요. 한 분야에서는 성인의 통증과 자세 이상을 교정하기 위해 영아의 발달 동작 패턴을 다시 훈련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실제 동적 신경근 안정화(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DNS) 라는 재활기법이 이러한 개념에 기반한 대표적인 예이죠

DNS는 발달운동학에 근거해 영아기의 기본 움직임패턴을 성인치료에 적용함으로써, 잘못된 신경근제어를 바로잡고 자세 한정을 되찾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방법의 창시자들은 초기 영아기 움직임이 정상적인 자세조절과 운동조절을 형성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하며, 성인에서 그 신경망이 교란되면 근골격계 통증과 이상이 발생한다고 보았습니다.

예를들어 DNS 및 보이타(Vojta)기법이 통증 강도와 장애지수를 유의하게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는 문헌전 고찰도 있으니깐요

다시말해 아기 때 배우는 대칭적이고 근본적인 움직임을 성인이 다시 연습하면 몸의 좌우 불균형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주의할점도 있습니다. 성인의 만성통증이 단순히 유아기 움직임의 부재만으로 생기는 것은 아니고, 퇴행성 변화와 같은 손상요인도 고려해야합니다. 이미 진행된 구조적인 뼈의 변형 (중증 척추측만증)은 이런 운동만으로 교정되기 어렵구요.

그래서 알려드립니다 체형교정 재활운동 가이드

1. 목가누기 – 아기가 생후 3~4개월경 목을 가눌때 만들어지는 경추 전만을 회복하는 단계

  • 성인은 장시간의 거북목 자세 등으로 경추 정렬이 무너진 경우가 많으므로, 먼저 경추와 어깨 주변의 안정성을 회복해야 합니다.
  • 대표적인 운동으로 프론트 레이징(prone head lifting)이나 엎드린 자세에서 상체 들어올리기가 있습니다

목과 등 상부의 근육을 골고루 사용하여 고개를 드는 힘을 기르고, 어깨날개뼈를 안정시켜 줍니다. 해당 운동은 영아의 턱괴기/엎드려 목 들기(일명 tummy time)과 유사하며, 경추 주위의 과긴장이나 한쪽으로 기운 정렬을 바로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목을 들 때 좌우 대칭적으로 힘을 쓰는지 거울을 통해 확인하고, 통증 없이 편안한 범위에서 실시해야 합니다. 이 단계는 목디스크 환자에게도 중요합니다

2. 몸 뒤집기 (흉추/체간 회전) – 영아가 4~6개월 무렵 뒷짐지고 누운 자세에서 배로 뒤집는 동작

흉추의 회전과 측굴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에 착안한 단계입니다. 성인 재활에서는 세그먼탈 롤링(segmental rolling) 운동으로 이에 해당하는 훈련을 합니다.

  • 바닥에 반듯이 누워 상체만 또는 하체만 이용해 몸을 굴려 좌우로 뒤집는 롤링 동작
  • 다리는 가만 두고 상지와 몸통의 회전 힘만으로 뒤집기, 반대로 상지는 고정하고 하지의 힘만으로 굴러보기 등을 연습

이런 분절 롤링 동작은 몸통 근육의 협응을 개선하고, 경추-흉추-요추가 연쇄적으로 부드럽게 움직이는 패턴을 복원하고 약화되기 쉬운 복부 근육과 척추 회전근들을 활성화하여 좌우 불균형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 단계는 척추 중간 등부위의 운동성을 회복시켜, 경추와 요추에 가해지던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3단계: 기어 다니기 (요추 안정 및 전신 협응) – 아기가 7~10개월경 네 발로 기기를 통한 요추 안정화

본격적으로 척추가 자리를 잡고, 코어 근육과 사지 협응이 발달합니다. 성인의 경우도 네발 기기 운동(quadruped crawling)을 재활 단계에 포함시켜 요추 안정화와 전신 협응을 다시 훈련할 수 있습니다. 기어 다니기는 손목, 어깨, 척추, 골반, 고관절을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전신의 대근군 강화와 균형감각 재교육에 탁월합니다

  • 네발기기 정적 자세에서 시작하는데, 손을 어깨 아래, 무릎을 골반 아래에 두고 허리를 중립으로 편 상태에서 한 손씩 번갈아 들어올리는 연습을 합니다
  • 골반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중심을 잡으며, 복부에 힘을 주어 척추가 처지지 않게 합니다. 적응이 되면 반대쪽 팔과 다리를 동시에 드는 버드독(bird-dog) 동작 등으로 진행하여 대각선 방향의 협응력을 기릅니다

이러한 기기 운동은 척추에 가해지는 체중 부하를 네 개의 지점으로 분산시켜 척추 압력 감소 및 안정화에 도움이 되며 , 허리 주변의 코어근육을 강화하여 요추 전만을 건강하게 유지해줍니다. Klapp 박사의 고전적인 연구에서도 네발로 기는 운동이 척추 주변 근육을 강화하고 체간 불균형을 개선하여 아이들 척추측만증 치료에 활용되었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로, 기어 다니기는 척추 건강에 중요한 움직임입니다

3단계를 거쳐 기본적인 대칭 동작 패턴이 회복되고 난후

무릎 서기, 선 자세(balance) 같은 자세에서 체중 부하 운동과 걷기 재훈련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실제 영국의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독립 보행을 시작한 나이가 이후 노년기 척추 만곡 형태와 관련이 있었다고 하며, 이는 어린 시절의 보행 발달이 척추에 장기적인 기계적 영향을 미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부터는 개개인의 특성이 너무 달라서 주변에 전문가를 찾아보심이 가장 좋습니다.!

아~~! 완벽히 이해했어는 무슨 전문가말 모르겠고 더 쉬운거 알려줘

제가 10년간 환자를 만나면서 제일 잘못한게 전문가 입장에서만 설명하다보니 환자들이 너무 어려워하더라구요.. 제 기준으로 쉽게 풀어 쓴다고 한건데…

그래서 물리치료사인 제가 코딩과 인공지능을 독학해서 최대한 쉽게 객관적으로 알아볼수있게

2년간 끝에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했습니다.. 눈으로 확인하는것도 실제로 체형교정이 된다는 논문이 있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임상 실험도 했습니다.!

정면,측면 사진 2장으로 촬영후에 인공지능을 통해 관절들의 위치를 파악할수 있게 맹글어 놨습니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체형분석 결과지로 이렇게 틀어졌다 설명드리고 나고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고 2차 촬영을 진행했죠.

그런데.. 신기하게도 틀어졌던 체형이 정말 아무것도 안했는데 점점 돌아오더라구요, 환자분도 안거죠 나 이렇게 틀어져있으니 이렇게 자세를 취해야겠다.

자체특허를 통해 체중이 어디로 쏠려있는지도 볼수 있어요!

교과서적으로 이상적인 자세가 꼭 통증을 해결하고 예방할수 있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많은분들이 조금이나가 경각심을 가지고 틀어진 몸을 한번씩 돌아봤으면 하는 바램에 개발을 하게되었으니 지금 바로 해보세요

아직 개발이 미숙해서 혼자서 체형평가할수 있게 만드는 기술이 부족합니다 ㅠ

다른사람에게 촬영좀 해달라고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빨리 개선해볼께요!

지금 옆사람과 한번 서로 촬영해보세요

무료에요, 무료…

측정하는 분들에게 제가 한분씩 연락드려서 계시는곳 주변 전문가들 만나볼수 있게 한번 힘써볼꼐요!!

참고문헌

The two-stage therapeutic effect of posture biofeedback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794735
Effects of cervical stabilization with visual feedbackhttps://journals.lww.com/md-journal/fulltext/2024/01120/effects_of_cervical_stabilization_with_visual.67.aspx
Effects of 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training on the core muscle contractility and standing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https://bmcmusculoskeletdisord.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2891-025-08417-1
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A Narrative Reviewhttps://www.rehabps.cz/data/DNS_Review.pdf
Using Real-Time Visual Feedback to Improve Posture at Computer Workstations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2521871/
Evaluation of Novel EMG Biofeedback for Postural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328112
The effects of an 8-week 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exercise on pain, functional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with a two-month follow-up study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271024
Motor development in infancy and spine shape in early old age: Findings from a British birth cohort study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641380
Effect of 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training using the inertial load of water on functional movement and postural sway in middle-aged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910739/
Postural Analysis in Ventral and Dorsal Decubitus Babies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A Protocol Studyhttps://www.mdpi.com/2077-0383/14/9/3096
Manual therapy of infants with postural and movement asymmetries and positional preference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337-020-00760-9

Recruitment of Body Check Specialists

 

We are currently recruiting a pool of specialists to address musculoskeletal issues.

By simply signing up, you can participate in the specialist pool.

 

Benefits

  • Free use of the matching system
  • Notifications for various free and paid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anatomy and functional anatomy

 

How to Join

  • Automatic participation upon app registration

Read more

오늘도 뻐근한 목 이유가 뭐일까 사진 2장으로 원인을 알수있다면?

오늘도 뻐근한 목 이유가 뭐일까 사진 2장으로 원인을 알수있다면?

전국민이 만성적으로 달고사는 목,허리 통증은 질환중 1,2위라고 하죠?? 마사지기로도 풀어보고 교정도…

[설문마감]선착순 300명 아메리카노 증정

[설문마감]선착순 300명 아메리카노 증정

[바디체크 체형·통증 관련 설문] 목·허리·손목 등 불편 부위와 관리 방법에 관한…

2025년 8월 19일 앱 대규모 업데이트

2025년 8월 19일 앱 대규모 업데이트

[새로운 업데이트 출시!] – 앱 체험 기능 추가회원가입 없이도 앱의 모든…